진주시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시 갑은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경상남도 진주시의 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천전동, 성북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가호동, 충무공동을 관할한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최구식, 박대출이 있으며, 박대출은 2012년부터 2024년까지 4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선거 결과는 보수 정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 후보도 꾸준히 득표율을 기록하고 있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주시 선거구가 갑, 을 선거구로 분리됨에 따라 신설되었다.
진주시 갑 선거구는 경상남도 진주시의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 관할 구역은 다음과 같다.
2. 역사
3. 관할 구역
3. 1. 경상남도 진주시
읍 면 동 문산읍 내동면 천전동 정촌면 성북동 금곡면 평거동 명석면 신안동 대평면 이현동 수곡면 판문동 가호동 충무공동
4. 역대 국회의원
최구식 의원은 2011년 한나라당 재임 시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디도스 공격 사건에 연루되어 의원직을 상실하였다는 의혹을 받았다. 박대출 의원은 언론인 출신으로, 보수 정당에서 주요 직책을 맡아왔다.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 정당 후보 득표율(%) 제17대 총선 한나라당 최구식 51.93 제18대 총선 무소속 최구식 44.64 제19대 총선 새누리당 박대출 39.09 제20대 총선 새누리당 박대출 54.49 제21대 총선 미래통합당 박대출 54.75 제22대 총선 국민의힘 박대출 58.30
진주시 갑 지역구에서는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총 여섯 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한나라당 최구식 후보가 17대, 18대(무소속) 총선에서 당선되었고, 이후 19대 총선부터는 새누리당/미래통합당/국민의힘 박대출 후보가 내리 4번 당선되었다.
5. 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구식 | 한나라당 | 39,575 | 51.93 |
이기동 | 열린우리당 | 18,800 | 24.67 |
김재천 | 무소속 | 9,307 | 12.21 |
윤용근 | 무소속 | 7,994 | 10.49 |
정우근 | 자유민주연합 | 524 | 0.68 |
합계 | 76,200 | 100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최구식 후보가 51.9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 이기동 후보는 24.67%를 득표했다.
5. 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최구식 후보가 44.6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최진덕 후보는 41.22%를 득표하였고, 무소속 김재천 후보는 9.67%, 평화통일가정당 차태선 후보는 2.52%, 무소속 김동철 후보는 1.92%를 득표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구식 | 무소속 | 30,723 | 44.64 |
최진덕 | 한나라당 | 28,366 | 41.22 |
김재천 | 무소속 | 6,659 | 9.67 |
차태선 | 평화통일가정당 | 1,736 | 2.52 |
김동철 | 무소속 | 1,328 | 1.92 |
합계 | 68,812 | 100 |
5. 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박대출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세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대출 | 새누리당 | 31,463 | 39.09% |
최구식 | 무소속 | 22,215 | 27.60% |
정영훈 | 민주통합당 | 18,361 | 22.81% |
윤용근 | 무소속 | 6,588 | 8.18% |
권철현 | 무소속 | 1,852 | 2.30% |
합계 | 80,479 | 100% |
5. 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박대출 후보가 54.49%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정영훈 후보는 33.89%를 득표했고, 무소속 이혁 후보는 11.60%를 득표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대출 | 새누리당 | 46,392 | 54.49 |
정영훈 | 더불어민주당 | 28,861 | 33.89 |
이혁 | 무소속 | 9,884 | 11.60 |
합계 | 85,137 | 100 |
5. 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대출 | 미래통합당 | 60,112 | 54.75 |
정영훈 | 더불어민주당 | 42,241 | 38.47 |
김유근 | 무소속 | 2,815 | 2.56 |
최승제 | 무소속 | 2,496 | 2.27 |
김준형 | 민중당 | 1,503 | 1.36 |
오필남 | 국가혁명배당금당 | 614 | 0.55 |
합계 | 109,781 | 100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미래통합당 박대출 후보가 54.75%의 득표율로 3선에 성공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영훈 후보는 38.47%를 득표했다.
5. 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힘 박대출 후보가 58.30%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4선에 성공했다. 더불어민주당 갈상돈 후보는 41.69%를 득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